본문 바로가기
잡다한 정보

제일 많이 틀리는 한글 맞춤법 단어 50개

by 한국의 잡학사전 2025. 9. 10.
반응형

 

  • 가르치다 (지식이나 기술을 전하다) / 가르키다 ❌
  • 설레다 / 설레이다 ❌
  • 예쁘다 / 이쁘다 (구어는 가능, 표준은 ‘예쁘다’)
  • 걷어붙이다 / 걷어부치다 ❌
  • 들르다 / 들리다 ❌
  • 오랫동안 / 오래도록 (둘 다 가능, 단 ‘오랫동안’이 더 정확)
  • 거꾸로 / 꺼꾸로 ❌
  • 도로 / 도로로 (도로로는 반복 X, 단순히 ‘도로’만 씀)
  • 그렇지 않다 → 그렇지 (맞음) / 그렇치 ❌
  • 하늘 아래 → 하늘아래 ❌ (띄어쓰기 주의)
  • 갖은 (여러 가지) / 가진 (가지고 있는)
  • 되레 (도리어) / 되려 ❌
  • 낯설다 / 낯설은 ❌
  • 설거지 / 설겆이 ❌
  • 대학교에 간다 / 대학교를 간다 ❌ (조사 구분)
  • 미처 / 미췬 ❌ (표준은 ‘미처’)
  • 왠지 (왜인지) / 웬지 ❌
  • 웬 떡이냐 (뜻밖의) / 왠 떡이냐 ❌
  • 얼마든지 / 얼마던지 ❌
  • 아무튼 / 어쨌든 / 하여튼 (셋 다 표준, 하지만 ‘아무튼’이 원형)
  • 무릎 / 무릎을 꿇다 (표준) / 무릎쓰다 ❌
  • 어쨌든 / 어찌됐든 (표준) / 어찌됬든 ❌
  • 예기치 못하다 / 얘기치 못하다 ❌ (‘얘기’는 ‘이야기’의 준말)
  • 왠만하면 ❌ / 웬만하면 ✅
  • 어의없다 ❌ / 어이없다 ✅
  • 애매하다 / 애매모호하다 (둘 다 가능, 다만 중복 표현은 피하는 게 좋음)
  • 바래다 (빛이 희미해짐) / 바라다 (희망하다)
  • 부딪치다 / 부딪히다 (둘 다 가능, 쓰임 차이 있음)
  • 붙이다 (붙게 하다) / 부치다 (우편, 힘, 토론 등)
  • 설사 (만약) / 설사(배탈) / 설사하다 (다 다름)
  • 졸업하다 / 졸업을 하다 (둘 다 가능, 하지만 ‘졸업하다’가 간결)
  • 생떼같다 ❌ / 생때같다 ✅
  • 뵈다 (보다의 높임) / 뵙다 (보다의 낮춤) → 뵈요 ❌ / 뵙습니다 ✅
  • 햇볕 / 햇살 (구분: 볕은 열, 살은 빛)
  • 애고 ❌ / 애구 ✅ (감탄사)
  • 이따가 (시간) / 있다가 (동사 ‘있다’ 뒤)
  • 곱절 (배수) / 갑절 (배수, 옛말)
  • 가엾다 / 가엽다 (둘 다 표준)
  • 삐치다 (화내다) / 삐지다 ❌
  • 희한하다 / 희얀하다 ❌
  • 안 된다 / 안된다 ❌ (띄어쓰기 주의)
  • 할 수 있다 / 할수있다 ❌
  • 도대체 / 도데체 ❌
  • 어쨌든 / 어째든 ❌
  • 미루다 (뒤로 미루다) / 늘어놓다 (다름)
  • 얼마큼 / 얼만큼 (둘 다 표준)
  • 흉터 / 흉티 ❌
  • 깎이다 (머리) / 깎히다 ❌
  • 잃다 (잃어버리다) / 잃어버리다 (강조형) / 잃어버리다 ❌ 띄어쓰기 주의
  • 가뿐하다 / 가뿐히 (부사형) → 가뿐이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