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TV 리뷰91 황산벌, 지배자가 아닌 국민의 눈으로 바라보다 1. 황산벌 전투 이야기 영화 ‘황산벌’(감독 이준익·2003년)은 삼국시대 말 신라와 백제가 벌인 황산벌 전투를 모티브로 하고 있습니다. 서기 660년 나당연합군의 백제 공격과 이를 막으려는 백제 장군 계백의 전투 이야기를 그려내고 있습니다. 여느 전쟁영화라면 아마도 김유신과 계백의 지략 대결, 그리고 5,000명 백제군과 5만 신라군의 전투를 스펙터클하게 그리는데 힘을 쏟았을 것입니다. 그러나 감독 이준익은 진지한 전쟁 영화로 잔뜩 폼을 잡는 대신 해학과 풍자를 통해 역설적으로 더욱 진지하게 전쟁과 역사, 인간에 대해 고찰합니다. 전라도 사투리를 쓰는 백제군과 경상도 방언을 쓰는 신라군이라는 설정부터 무척 재밌습니다. 지금보다 더욱 지역 간 교류가 없었던 그 시대, 기존 사극을 보면 모두가 표준말을 .. 2022. 7. 22. 괴물, 가족의 마음으로 따뜻한 연대와 위로를 1. 영화 이야기 봉준호 감독의 ‘괴물’은 대형재난에 대비하는 한국 사회 시스템 부재와 비인간적인 대처에 대한 가슴 아픈 묵시록입니다. 평범하다 못해 다소 모자란 구석까지 있으며 사고뭉치인 강두(송강호)는 한강공원에 있는 아버지(변희봉) 매점 일을 도우며 평화로운 일상을 보내고 있습니다. 대학 때 운동권이었던 동생(박해일)이 자리를 못 잡고 있어 집안의 걱정이긴 하지만 전국체전에 양궁 지역 대표로 출전할 정도로 실력 있는 궁사인 여동생(배두나), 하나밖에 없는 귀한 딸 현서(고아성)와 함께 단란한 가정을 이루고 있습니다. 그들의 평화로운 일상은 전혀 예상치 못한 것에 의해 산산조각 납니다. 한강변에 불쑥 나타난 돌연변이 괴물(괴물은 미군이 무단으로 방류한 폐기물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로 인해서입니다. 이.. 2022. 7. 21. ‘그래비티’, 광활한 우주에서 일상의 소중함을 느끼다 1. '중력'이라는 단어의 영화 고등학교 물리 시간에 너무나 많은 학생들을 힘들게 했던 단어, 중력입니다. 한국어로 번역하면 ‘중력’이라는 물리 수업시간에나 들을 법한 딱딱한 제목을 단 SF영화 한 편이 화제를 모았습니다. 영화 ‘그래비티’(감독 알폰소 쿠아론·2013년)는 극영화라기보다 광활한 우주 공간에서 활약하는 우주인들의 일상을 담담히 그려낸 다큐멘터리 같은 느낌을 풍기기까지 합니다. 그러나 겉으로 풍기는 느낌과 달리 ‘그래비티’는 시종일관 관객들의 손에 땀을 쥐게 하는 수작 SFSF 스릴러 영화입니다. 영화의 내용은 너무 간단합니다. 미국 나사(NASA) 소속의 유인 우주선을 탄 다수의 우주 비행사들이 지구로부터 600여 Km 떨어진 지점에서 우주 관측용 허블 망원경을 수리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 2022. 7. 19. ‘적벽대전’, 감독 오우삼의 스타일을 살리다 1. 오우삼 스타일 영화 ‘적벽대전’(감독 오우삼·2008년)은 나관중의 ‘삼국지연의’를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미 많은 독자들이 잘 알고 있는 삼국지 속 적벽대전을 스크린 속에 완벽히 되살려냈습니다. ‘삼국지연의’와 차이라면 제갈량이 아닌 주유와 오나라가 극의 중심에 등장한다는 점 정도일 것입니다. 그럼에도 제갈량의 계책으로 화살을 얻는 장면부터 연환계, 이간계, 동남풍을 부르는 장면 등 ‘삼국지연의’ 속 적벽대전의 재미를 충실하게 살려냈습니다. 특히 한때 홍콩 누아르의 대표적인 스타일리스트였던 오우삼의 장기(특유의 슬로모션과 비둘기가 나르는 장면 등은 여전히 빠지지 않습니다.)와 수중전, 기마전, 공성전 등 고전 전쟁영화의 스펙터클이 어우러지며 충분한 재미를 선사한 영화였습니다. 그동안 특히 소설.. 2022. 7. 18.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