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다한 정보

2025년 ‘천원의 아침밥’ 참여 대학 현황

by 한국의 잡학사전 2025. 2. 17.
반응형

구분 지역 참여대학
200개 학교 (1차 선정 10개 대학, 신규 17개 대학)
1 서울(36)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광운대, 국민대, 덕성여대, 동국대, 동덕여대, 명지(인문), 배화여대, 삼육대, 삼육보건대, 상명대, 서경대, 서울과학기술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서울여자간호대, 서울여대, 성공회대, 성균관대, 성신여대, 세종대, 숙명여대, 숭실대, 숭의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인덕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국폴리텍I(서울정수), 한성대, 한양대, 한양여대, 홍익대
2 부산(12) 경남정보대, 동명대, 동서대, 동아대, 동의과학대, 동의대, 부경대, 부산가톨릭대, 부산경상대, 부산대, 부산외대, 한국해양대
3 대구(7) 경북대, 계명대, 계명문화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구공업대, 대구과학대, 대구교육대
4 인천(11) 가천대(메디컬), 겐트대(글로벌캠퍼스), 경인교육대(인천), 연세대(국제), 유타대(아시아캠퍼스), 인천대, 인하공업전문대, 인하대, 청운대(인천), 한국뉴욕주립대, 한국조지메이슨대
5 광주(6) 광주과학기술원, 광주여자대, 남부대, 전남대, 조선대, 호남대
6 대전(10) 건양대(대전), 대전대, 목원대, 배재대, 우송대, 우송정보대, 충남대,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문지), 한남대
7 울산(4) 울산과학기술원, 울산과학대, 울산대, 춘해보건대
8 세종(1) 홍익대(세종)
9 경기(32) 가천대, 가톨릭대, 경기과학기술대, 경기대, 경인교육대, 경희대(용인), 농협대, 단국대, 대림대, 명지대(자연), 부천대, 서울신학대, 서정대, 신구대, 신한대, 한대(의정부), 아주대, 안산대, 연성대, 유한대, 중앙대(안성), 청강문화산업대, 평택대, 한경국립대, 한국공학대, 한국교통대(의왕), 한국외대(글로벌), 한국항공대, 한세대, 한신대, 한양대(ERICA), 화성의과학대
10 강원(12) 가톨릭관동대, 강릉원주대, 강릉원주대(원주), 강원대(춘천), 강원대(삼척), 강원대(도계), 경동대(메트로폴), 상지대, 연세대(미래), 한국골프대, 한라대, 한림대
11 충북(8) 건국대(글로컬), 서원대, 중원대, 청주대, 충북대, 충북보건과학대, 한국교통대, 한국교통대(증평)
12 충남(15) 건양대, 공주교육대, 공주대, 공주대(예산), 공주대(천안), 나사렛대, 남서울대, 단국대(천안), 백석대, 백석문화대, 선문대, 순천향대, 청운대, 한국기술교육대, 한국전통문화대
13 전북(9) 국군산대, 군장대, 우석대, 원광대, 원광보건대, 전북과학대, 전북대, 전주기전대, 호원대
13 전남(8) 동신대, 목포대, 순천대, 전남과학대, 전남대(화순), 전남대(여수), 청암대, 초당대
15 경북(16) 경북도립대, 경운대, 경일대, 구미대, 금오공과대, 김천대, 대구가톨릭대, 대구대, 대구한의대, 동국대(WISE), 선린대, 안동대, 영남대, 포항공과대, 포항대, 한동대
16 경남(10) 경남도립남해대, 경상국립대(가좌), 경상국립대(칠암), 경상국립대(통영), 김해대, 연암공과대, 영산대, 진주보건대, 창신대, 창원대
17 제주(3) 제주관광대, 제주대, 제주한라대

         1차 선정 10개 대학,          신규 선정 17개 대학

 

대학생에게 양질의 아침밥을 제공하고 청년층의 쌀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천원의 아침밥은 농식품부가 학생 1인당 2,000, 지자체와 학교가 나머지를 부담하여 학생이 1,000원에 아침밥을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는 사업입니다.

 

올해 천원의 아침밥사업에는 농식품부와 수도권 79개교(서울시립대, 경희대 등), 충청권 34개교(한국과학기술원, 충북대 등)를 포함한 전국 200개 대학이 함께 합니다. 올해는 겨울방학(1~2)에도 따뜻한 아침식사를 제공하기 위해 사업을 조기추진했으며, 광주과학기술원, 김해대. 목포대, 서울대, 선문대, 울산과학기술원, 제주대, 충남대, 충북대, 포항공과대 등 10개교 1월부터 학생들에게 아침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농식품부는 정부 지원단가 인상(1인당 1,0002,000), 옴부즈맨 도입 및 우수식단 홍보 등을 통해 식단 품질이 제고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습니다. 그 결과, 사업 참여에 대한 대학교 관심이 높아졌고, 학생들의 인식이 개선*되는 등 성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