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와 교육

2025년 글로컬대학별 통합 현황

by 한국의 잡학사전 2025. 2. 20.
반응형

연번 대학명
(출범 연도)
주요내용
1 국립경국대
(’25학년도)
<국립대-공립대 통합 및 공공형 대학 창출>
최초 국·공립대 통합 승인 완료(’24.6.), 안동캠퍼스(인문·바이오·백신 특화), 예천캠퍼스(공공수요 특화), 경북도 내 교육·연구기관 통합운영으로 시너지 창출
2 강원대-강릉원주대
(’26학년도)
<11국립대학>
총장(President), 총장 전문 보좌 전략혁신실(System Office), 캠퍼스 책임 운영 캠퍼스총장(Chancellor), 캠퍼스 간 자원배분 등을 심의하는 대학위원회 등 새로운 거버넌스로 강력한 혁신과 지역균형발전을 동시에 도모
3 원광대-원광보건대
(’26학년도)
<생명산업 혁신을 주도하는 통합대학>
생명산업 관련 학과들을 3개 생명융합대학(의생명·농생명·생명서비스)로 재편하고 일반계열 학과를 폐과 및 재조정을 통해 특성화 구현(생명융합대학 입학정원이 전체 정원의 60% 이상)
4 창원대-경남
도립거창-남해대
(’26학년도)
<DNA+ 특성화 통합대학>
창원(방산-원전-스마트제조), 거창(드론-스마트제조)-남해(항공-방산-원전) 특성화 및 일반학사-전문학사 동시 운영으로 통합 대학 내 고급 연구인력부터 전문기술인력까지 종합 양성
5 목포대-전남도립대
(’26학년도)
<글로벌 해양특성화 통합대학>
4년제 해양융합단과대학(공과대학 관련 학과를 친환경무탄소선박·그린해양에너지학부 특성화로 재편) - 2년제 해양특성화 학부 신설 등 학사개편에 기반하여 해양분야 거점대학 도약
6 충북대-한국교통대
(’27학년도)
<미래지향 지역주력산업 특성화 통합대학>
청주(연구중심, 기초학문), 충주(공학, 미래산업), 의왕(철도), 오창·증평(이차전지, 반도체, 바이오, 모빌리티 실증) 특성화로 연구중심 및 충북 주력산업 고도화 추진
7 부산대-부산교대
(’27학년도)
<미래교육 양성 종합체계 구축>
교육대-사범대-교육대학원-교육특화연구소-교육연수원를 아우르는 거버넌스가 본부로부터 인사 및 재정의 자율성을 보장받아 교육 특화캠퍼스(교원 양성·연수·연구·글로벌교류·에듀테크 등) 운영

 

교육부가 추진하고 있는 「글로컬대학30 프로젝트는 대학 현장에 대학 통합논의의 기폭제가 되고 있습니다. 전체 총장(President)과 캠퍼스 총장(Chancellor) 골자로 한 협력 방식(거버넌스)을 통해 강력한 혁신과 지역균형발전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는 ‘11국립대학’, 본부로부터 일정 자율성을 보장받고 교육대와 사범대가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종합교원양성체계’, 최초의 국립대-공립대통합 모델등은 대학 사회에 대학 통합의 새로운 선택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3년 글로컬대학으로 지정된 안동대와 경북도립대는 20246 통합(-공립대 최초 통합)이 승인되어 학생을 선발하고 있고, 20253월부터 국립경국대학교로 출범합니다. 이를 계기로 4개 공립대가 국립대와의 통합을 공표하고 추진하는 등 성과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글로컬대학30 추진방안(’23.4)에 따라, 대학 통합을 추진하는 글로컬대학은 협약 체결 후 1년 이내에 교육부로 국립대학 통폐합 기준에서 정하는 요건이 완비된 통폐합 신청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글로컬대학 지원금 총액의 50% 이상 삭감 조치가 적용됩니다. 이후에도 통합 이행이 연되거나 통합이 무산되는 글로컬대학은 협약 해지, 지원금 삭감 또는 환수 조치를 시행합니다.

 

 

2024년 글로컬대학 본지정 평가 결과(2023년 포함)

1. 글로컬대학이란?글로컬대학30 프로젝트는 인구감소와 청년층의 수도권 유출 및 산업구조 변화 등 지역과 지역대학이 처한 공동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작년에 출범되었습니다. 대학 내외의

moviestar92.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