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촌진흥청은 (사)한국제과기능장협회와 국산 밀가루 소비 확대를 위한 2025년 ‘제9회 국산밀 활용 제과·제빵 아이디어 공모전(이하 공모전)’을 열고, 올해의 국산 밀 빵·과자를 선정했습니다.
지난 11월 6일 본청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이번 공모전에는 (사)한국제과기능장협회 지회 추천을 받은 기능장 44개 팀이 참가했습니다. 사전에 제공된 고품질 국산 밀가루로 제품을 만들어 당일 출품하는 방식으로 진행됐습니다.
국산 밀가루는 농촌진흥청 ‘밀 산업 밸리화 조성 사업’으로 조성된 제분 시설에서 생산된 것으로, 제빵용(강력분) 밀은 ‘황금알’ 품종, 제과용(박력분) 밀은 ‘고소’ 품종입니다.
‘황금알’은 단백질 함량이 약 12.2%로 높고, 글루텐 조성이 우수해 빵으로 구웠을 때 잘 부풀고 조직이 고르게 형성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고소’는 단백질 함량이 약 8.6% 정도이며, 과자로 구웠을 때 넓게 퍼지고 표면이 고루 잘 갈라져 제과 적성이 우수합니다.
심사 결과, 제과 부문 최우수상은 단호박, 수수, 쑥, 메밀, 밤 등을 이용한 타르트와 과자를 선보인 김경선 씨(하레하레, 대전광역시)가 수상했습니다.
제빵 부문 최우수상은 김지은 씨(더슬로우 베이커리, 경남 진주)가 수상했습니다. 바닐라빈, 허브잎, 코코아 초콜릿을 이용한 페이스트리와 레몬 조각, 허브로 장식한 건강빵을 출품했습니다.
이와 함께 금상 4명(제과·제빵 부문별 2명), 은상 6명(제과·제빵 부문별 3명)도 가렸습니다.
심사위원들은 국산 밀 고유의 특성을 잘 살린 독창성과 완성도 높은 작품이 많았다며, 이번 행사가 국산 밀의 경쟁력을 효과적으로 알린 기회가 됐다고 전했습니다.
이번 공모전은 해를 거듭할수록 밀가루 소비 핵심 수요자인 제과·제빵 전문가들에게 국산 밀가루의 가공적성과 우수성을 알리는 창구가 되고 있습니다. 또한 국산 밀가루 구매처 안내, 품종별 특성 정보 제공 등 실질적 소비 확대로 이어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한편, 2017년 첫 개최 이후 해마다 열리는 공모전을 통해 현재까지 총 304종의 국산 밀 제과·제빵 조리법(레시피)이 개발됐습니다.
○ 수상자 명단
| 훈격 | 수상 부문 | 수상 인원 | 수상자 |
| 최우수상 (농림축산식품부장관상) |
제과 | 1명 | 김경선(충남 대전, 하레하레) |
| 제빵 | 1명 | 김지은(경남 진주, 더슬로우 베이커리) | |
| 금상 (농촌진흥청장상) |
제과 | 2명 | 김재윤(경북 구미, 농협하나로마트 베이커리) |
| 임헤진(세종, 팡쇼과자점) | |||
| 제빵 | 2명 | 나준수(경남 창원, 슬로우 오븐) | |
| 이경희(서울 종로, 티쉐의 집) | |||
| 은상 ((사)한국제과기능장협회장상) |
제과 | 3명 | 김세현(경기 성남, 파리크라상) |
| 이수정(경기 성남, K헤밍웨이베이커리카페) | |||
| 이지상(서울 금정, 빵굼터 시흥점) | |||
| 제빵 | 3명 | 김보겸(세종, 팡쇼과자점) | |
| 박소영(경기 성남, 리안베이커리) | |||
| 양희주(대전 서구, ㈜스윗모먼트) |
○ 공모전 수상 작품
![]() |
![]() |
| 제과 최우수상 작품 | 제빵 최우수상 작품 |
'공모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광복 80년, 9회 대한민국 국가상징 디자인 공모전 개최 (1) | 2025.05.19 |
|---|---|
| 제1회 보훈 공공데이터 공모전 개최 (1) | 2025.05.08 |
| 2026년 신규 노인일자리 아이템 공모전 개최 (2) | 2025.05.08 |
| 2024 미래한국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0) | 2024.08.09 |
| 영천9경 관광콘텐츠 아이디어 공모전 (0) | 2024.08.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