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부는 하얼빈 총영사관 의거 100주년을 맞아 일본 고등경찰 간부를 사살하는 등 만주지역에서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한 유기동(1963년 독립장), 김만수(1963년 독립장), 최병호(1963년 독립장) 선생을 ‘2024년 4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습니다.
일제의 강제병합으로 한국의 국권이 상실된 1910년 이후 수많은 독립지사들이 만주로 망명하여 척박한 환경과 생활 여건의 어려움 속에서도 독립운동기지를 개척해 나가고, 미래의 독립전사들을 길러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3・1운동 이후부터 큰 성과로 이어져 독립군의 청산리대첩과 같은 독립전쟁 승리나 단체・개인이 감행하는 의열투쟁으로 이어졌으며, 특히 1924년 4월 유기동 선생 등 세 청년의 하얼빈 총영사관 의거는 대표적인 의열투쟁의 사례로 알려졌습니다.
경북 안동 출생(1891년)인 유기동 선생은 일찍부터 만주로 건너가 흥업단이 조직되자 이에 가입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경북 안동 출생(1892년)인 김만수 선생은 만주로 건너가 농사와 군사훈련을 병행하며 독립의지를 다짐, 1920년 서로군정서에 합류하여 군자금 징수 활동을 전개했으며, 한족회에서도 독립운동을 지속했습니다.
경북 울진 출생(1903년)인 최병호 선생은 만주로 건너가 서로군정서의 헌병대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독립운동을 추진하였습니다.
김만수・최병호 선생은 하얼빈 총영사관의 고등경찰 간부 쿠니요시와 형사부장 마쓰시마가 하얼빈 일대의 한인들을 가혹하게 탄압하고 함부로 해친다는 소문이 돌자, 하얼빈 지역에서 친일파와 일본 경찰을 암살하며 일제 기관을 파괴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은신하던 중 예전의 동지 유기동 선생과 우연히 만나 함께 의열 활동을 일으키기로 뜻을 모았습니다.
하지만, 거사가 실행되기 전에 은신처가 발각되어 다수의 적에게 포위되자 격렬한 항전 끝에 일본 경찰 쿠니요시 세이호를 사살하고, 일본 경찰을 비롯한 중국군과 밤새도록 교전을 벌이다 1924년 4월 8일 장렬하게 순국하였습니다.
유기동·김만수·최병호 세 청년은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일제에 굴복하지 않고 용맹하게 맞서며 조국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쳤습니다.
세 청년의 의거는 만주 무장독립운동 진영에 큰 교훈을 주었고, 1924년 6월 이후 독립군단들이 통합되면서 항일무장투쟁이 강화되는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정부는 유기동·김만수·최병호 선생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건국훈장 독립장을 각각 추서하였습니다.
'문화와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5월의 독립운동가, ‘사이토 총독 저격사건 100주년, 무장투쟁의 주역’ 채찬·김창균·장창헌・이춘화 선생 (1) | 2024.06.20 |
---|---|
‘케이팝 플레이그라운드’ 개최, ‘케이-팝 랜덤 플레이 댄스’ 대회 운영 (1) | 2024.05.22 |
2024년 3월의 독립운동가, ‘3・1운동 도운 호주의 독립운동가들’ (0) | 2024.03.07 |
2024년 2월의 독립운동가, ‘정의부 100년, 만주 무장 독립투쟁의 선봉’ 김창환·이진산·윤덕보・김원식 선생 (0) | 2024.02.05 |
2023년 12월의 독립운동가, 독립운동에 헌신한 ‘부부 독립운동가’ 문일민·안혜순 선생 (0) | 2023.1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