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와 교육

2023년 10월의 독립운동가, ‘의열 활동의 주역’ 이종암·이강훈·엄순봉 선생

by 한국의 잡학사전 2023. 10. 4.
반응형

10월의 독립운동가로 조국의 독립을 위해 친일파 처단 등 의열 활동을 펼친 독립유공자, 이종암(1962년 독립장), 이강훈(1977년 독립장), 엄순봉(1963년 독립장) 선생이 선정됐습니다.

 

대구광역시 출생의 이종암(1896) 선생은 19182월 만주로 망명했습니다. 서간도 신흥무관학교에 입학하여 속성과정을 거쳐 191910월 수료했고, 동창생들과 의기투합하여 의열단(191911월 만주 지린성에서 조직된 항일무력독립운동단체로써 1920년대 일본 고관 암살과 관공서 폭파 등을 전개)11월에 창립했습니다.

 

선생은 국내로 밀입국해 최수봉(崔壽鳳, 호적명 최경학, 1963년 독립장)을 만나 폭탄 거사를 제의, 최수봉이 1227밀양경찰서로 진입해 거사를 성공시킨 후 192112월 중국으로 탈출하여 북경의 의열단 본부에 합류했습니다.

 

또한, 일본 육군대장 다나카 기이치(田中義一, 경신참변 당시 육군대신)가 상해를 방문한 1922328, 황포탄 부두에서 의열단의 다나카 암살 거사에 참여했으나 실패 후 탈출했습니다.

 

선생은 의열단 조직 정비 때 최고지도부 격인 5기밀부의 일원이 되었고, 국내 투쟁을 위한 요원으로 선정되어 19257월 비밀리에 입국했습니다. 의열투쟁을 위해 경북 달성군에 은신하던 중 1925115일 경북경찰부 소속 일제 경찰의 급습을 받아 체포되었습니다.

 

선생은 경찰과 검사국에서 혹독한 신문을 당하였고, 살인미수, 폭발물취체벌칙 위반 등으로 징역 13년형을 선고받았습니다. 이후 지병과 고문 후유증으로 인해 병세가 악화되어 1930523일 대전형무소에서 가출옥되었으나, 일주일 만인 529일 친형 집에서 조국의 독립을 보지 못하고 숨을 거두었습니다.

 

강원도 김화군 출생의 이강훈(1903) 선생은 1919312, 김화군 독립만세 시위 참여를 이유로 헌병들에게 붙잡혔다가 간신히 풀려났고, 이후 임시정부에 뜻을 품고 19202월 중국으로 망명했습니다.

 

19253, 신민부(新民府, 1925년 북만주 지역에 설립된 독립군) 군사위원장 김좌진(金佐鎭, 1962년 대한민국장)의 지령을 받고 국내로 귀국, 함경도를 순회하며 군자금을 모집하다 다시 중국으로 돌아갔습니다.

 

19304월 상해에서 유기석(柳基石)유자명(柳子明) 등이 주도한 무정부주의자(아나키스트) 비밀결사 남화한인청년연맹(南華韓人靑年聯盟)에 가입한 선생은 193112월 중국인·일본인 무정부주의자들이 남화한인청년연맹과 합작하여 창립한 항일구국연맹의 결성에도 참여하여 적극 활동했습니다.

 

선생은 주중(駐中) 일본 공사 아리요시 아키라(有吉明)가 육삼정(六三亭, 일본식 요리집)에서 중국 정부 요인과 은밀히 접선한다는 정보를 듣고, 아리요시를 암살하기 위한 육삼정 의거를 계획했으나 실패하였습니다.

 

일본영사관 경찰서로 끌려간 선생은 심한 고문을 받았으며, 재판에서 징역 15년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 1940년 일본의 대사령(大赦令) 등으로 1942725일로 형기가 만기 되었습니다. 하지만, 일제는 선생의 독립사상이 변함없음을 알고, 석방 대신 도쿄의 예방구금소로 이송했습니다.

 

광복 후인 194510월에 출옥한 선생은 12월에 귀국하여 백정기·윤봉길·이봉창 3의사의 유해 발굴과 봉환 문제를 임시정부 요인들과 상의했습니다. 이후 일본으로 돌아가 3의사의 유해를 모두 찾아내어 19464월 유해를 모시고 귀국했으며, 선생과 국민들의 노력으로 76일 합동 장례를 치르고 효창공원에 안장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198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았으며 1988년 광복회 회장을 역임했습니다.

 

경상북도 영양군 출생의 엄순봉(1906) 선생은 19259월 남만주로 망명하였고, 안도현으로 이동하여 당시 한인학교 교사였던 이강훈 선생을 통해 북만주 해림(海林)에서 김좌진 장군을 만나 신민부(新民府)에 합류하였습니다.

 

이후 신민부와 재만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이 합작하여 조직한 한족총연합회 청년부 차장으로 활동했으며, 상해로 이동하여 남화한인청년연맹과 항일구국연맹에도 가입하고 독립운동을 이어갔습니다.

 

선생은 육삼정 의거가 실패로 끝나자 안경근·오면직·이달·이용준 등과 함께 일본영사관 밀정인 이종홍을 처단하고, 독립운동에 방해물이 되는 옥관빈을 사살했으며, 1935년 봄 친일파 이용로를 처단한 끝에 중국 순경들에게 붙잡히고 말았습니다.

 

일본영사관 경찰로 넘겨져 모진 고문을 받은 선생은 종로경찰서로 압송되어 취조를 받은 후, 경성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 등으로 사형 선고를 받았습니다. 193849일 서대문형무소에서 형이 집행되어 33세의 젊은 나이로 순국했습니다.

 

이종암·이강훈·엄순봉 선생은 조국 독립을 위해 목숨을 아끼지 않는 희생정신으로 의열투쟁의 불꽃을 크게 피웠습니다.

 

정부는 선생들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이종암 선생에게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엄순봉 선생에게는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각각 추서하였고, 이강훈 선생에게는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했습니다.

반응형

댓글